본문 바로가기

부동산&예적금&골드

재테크 기초, 통장 쪼개기에 목적에 맞는 통장 추천

반응형
통장쪼개기

재테크를 하는데 있어 기본중의 기본인 통장 쪼개기. 여기저기서 정보를 듣다보면 여러개 통장을 둔다는 것은 알것 같은데 어떻게 통장을 쪼개는 지와 각기 쪼개는 통장은 어떤 통장으로 만드는지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준비해 보았습니다.
 
재테크의 시작은 수입과 지출을 정확히 알고 현금 흐름을 관리하는 데에서 부터 시작됩니다. 수입은 노동으로 인한 수입, 금융자산으로 인한 수입, 배당이나 건물 월세 등을 통해 들어오는 수입 등 여러가지가 있을 것이고 지출 또한 마찬가지겠지요. 사회에 이제 막 발을 딛은 분들이야 수입이 월급에 의한 수입 말고는 다른게 있기 힘들겠지만 이제 나이가 어느정도 되신 분들은 월급 이외의 수익도 점점 들어오게 됩니다

이런 수입을 잘 정리하고, 매월 나가는 정기적인 돈과 비 정기적인 지출을 정리하는데서 부터 재테크는 시작됩니다.
자, 그럼 이렇게 현금의 흐름을 관리하기 위해서 통장을 어떻게 쪼개는 것이 좋은지 알아보겠습니다.


  • 통장 쪼개기
  • 급여 통장 추천
  • 소비 통장 구성과 관리 방법
  • 예비통장과 투자 통장 추천

통장 쪼개기

 
통장을 쪼개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기본적인 쪼개기는 4개로 구성됩니다. 
회사에서 직접 월급을 받는 급여 통장, 그리고 비 정기적인 지출을 관리하기 위한 소비통장, 긴급 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예비자금 통장, 그리고 투자를 위한 투자 통장으로 구분됩니다.
 
왜 이렇게 구분을 하느냐?
고정지출과 비고정 지출을 구분하면 줄여야 하는 돈과 쓸수 있는 돈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고정지출은 투자비, 통신비, 보험료, 월세나 대출이자 등이 포함되는데, 이런 돈은 비교적 명확하게 구분이 되고 금액의 범위가 일정하기 때문에 줄이려고 하면 관련 상품등을 찾아 줄이기가 쉽습니다.
비 고정 지출은 외식비, 의류비, 용돈 등 나가는 돈의 범위가 매우 들쭉날쭉하고 줄이기도 생각보다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우선 급여 통장은 고정적인 비용이 나가도록 구성을 하고, 비 고정지출은 별도 통장에 보내서 한도 내로 쓸 수 있게끔만 관리하면 절약이라는 습관이 몸에 쉽게 베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습관이 베이다 보면 비 고정 지출에서 사용하던 금액을 한도까지 쓰는 것이 아니라 남게 되고 그 남는 돈을 투자 통장으로 이체할수 있기 때문에 이렇게 구성하는 것이지요.
하지만, 사람의 일은 모르는 법. 갑작스레 누가 아프다던지, 생각지도 못한 돈이 들어가야 한다면 그 또한 돈을 갑작스레 구하기가 어려워 집니다. 이런 이유로 비상금 통장도 필요한 것이구요.
 
마지막으로 투자 통장은 나의 장기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꿈을 키우는 용도로 사용하시는 것입니다.
자, 지금까지 통장 쪼개기의 기본에 대해 알아보았고 다음은 각기 쪼갠 통장은 어떤 통장을 활용하는 것이 좋을지 알아보겠습니다.
 

모든 계좌를 한번에. 계좌정보 통합관리, '어카운트인포'

어렸을 때 부터 지금까지 내가 어떤 은행에 들었고, 어떤 카드를 만들었는지 또 각기 계좌에는 얼마나 들었는지 모두를 기억하기는 쉽지 않죠. 다행인것은 우리나라가 이런 IT 강국이라는 점입

garammarusc.com


첫번째, 급여 통장

 
급여 통장은 제 1금융권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큰 재산을 구매하기 위해 레버러지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이자를 최대한 적게 받기 위해서는 장기간 거래하고, 그 거래 금액도 어느정도 있어서 신용을 쌓는데 있어서도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그럼 급여 통장으로 어떤 통장이 좋을까요?
 
현재 기준으로 급여 통장은 만 35세 이하의 경우 우리은행 첫 급여 우리통장을 추천합니다.
1년 만기에 한해 최그 금리 4.1% 의 비과세 종합 저축이 가입 가능하고, 은행의 규모나 편의성을 감안해도 괜찮은 수준의 혜택을 제공합니다. 

통장쪼개기


우리은행이 어려우시면 IBK W급여 통장도 쓸만합니다. 기본 금리 3.69%에 금리에 비과세 종합저축 혜택 제공하고 급여 이체만 하더라도 0.2%의 금리를 더 주기 때문에 괜찮은 선택입니다. 

통장쪼개기

 
이외에 해외 여행을 자주 다니시는 분들 같은 경우 신한은행 My 급여클럽 통장도 선택지가 될 수 있는데, 환전 시 90% 우대혜택을 주기 때문입니다. 


두번째, 소비통장

 
소비 통장은 한달 소비를 위해 사용하는 통장으로 생각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금액은 본인이 정한 금액만을 넣어야 관리가 쉬워집니다. 그래서 큰 금액을 넣기 보다는 적은 금액을 넣고 다시 채워 넣는 방식을 추천합니다. 통장에 돈이 없으면 안쓰게 되고, 다시 채워넣으려고 하면 이체를 해야 하는데, 이 또한 귀찮아서 돈을 덜 쓰게 되기 때문입니다.
 
그럼 소비통장은 어떤 통장이 좋을까요?
 
소액을 용돈으로 사용하시는 분들을 위해 추천하는 통장은 OK 저축은행의 OK짠테크 통장입니다.
50만원 이하의 금액에 대해서는 7%의 이율을 주고 있어 적은돈 운영하기에 좋습니다.

통장쪼개기

 
50만원이 너무 적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네이버페이머니 하나 통장도 좋습니다.
200만원한도까지 연 4%의 이자를 주고 있고 무엇보다 중요한 점. 네이버 페이에 쌓은 돈을 예금으로 자동입금해 줍니다. 

통장쪼개기

 


세번째 비상금 통장

 
비상금 통장은 급한일에 쓰기 위한 돈을 모으기 위한 용도로 특정 금액이 쌓이고 나면 더 이상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규모는 월급의 2 ~ 3배를 넣어두는 것이 좋습니다.
 
비상금 통장으로는 에큐온 저축은행 플러스 자유예금을 추천합니다.
예비 통장 에큐온 저축은행 - 플러스 자유예금 (2천만원 이하 금액에 대해 3.5%)의 이자를 줍니다.

통장쪼개기

단, 비상금 통장은 돈을 넣어두지 않고 마이너스 통장을 만드는 것도 방법입니다.
마이너스 통장은 월급통장에 연계해서 만드는 것이 이율도 저렴해서 좋습니다.
그런데 월급 통장 하나를 이미 만드어서 못만드시겠다구요? 아닙니다. 각 은행마다 월급 통장은 일정 금액 이상만 들어오게 된다면 월급 통장으로 인정해 주는 곳이 많습니다.
위에서 소개한 IBK W 통장의 경우도 월 50만원 이상만 정기적으로 입금이 되면 월급통장으로 인정해 줍니다. 우리은행에서 회사에서 실제로 받는 월급을 매월 50만원씩 자동이체를 걸어두어 제2의 월급통장으로 만드는 것도 방법이겠네요. 이렇게 두고 마이너스 통장을 개설한 다음 자동이체를 그만 두어도 됩니다.
 
혹은 비상시에만 활용할 수 있도록 출자금 통장을 활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배당금이 은행 예금이자보다 더 높고 통장을 해약할 때 까지 돈을 쉽게 찾을 수 없기 때문에 비상용도로 활용하는데 있어서 제격입니다.
 

출자금 배당금, 세금 없이 은행이자 보다 더 받는 쏠쏠한 이익

신협, 농협, 새마을금고 등 통장 개설할 때 필요하다고 해서 나도 모르는 사이 가입하고 넣은 출자금에서 배당금이 나오는 사실을 알고 계시나요? 배당금 또한 적지 않은 금액에 세금까지 없어

garammarusc.com


마지막으로 투자 통장 

투자 통장은 투자 상품을 운영하는 금융사에서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 IRP나 ISA, 연금저축 등 본인이 운영하시는 금융권에서 CMA 통장을 개설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현재 연금저축이나 ISA는 증권사에서 가장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고 있고 금리 또한 적은 편이 아니라서 추천을 해드린다면 한투 CMA를 추천합니다.

통장쪼개기

 
투자 통장은 투자 관리를 위한 적금, 펀드, 변액연금 등 목적에 맞는 금액을 자동이체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자동이체 일은 가급적 같은 날로 정하거나 비슷한 날로 관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지금까지 통장 쪼개기 방법과 각 목적에 맞는 금융사의 통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여러개의 통장을 관리하는 것이 번거롭고 귀찮치만 요새는 핸드폰 하나로 약 15분 정도만 신경을 쓰면 충분히 통장 쪼개기를 할 수 있습니다.
각기 목적에 맞는 통장을 만들어서 재테크에 성공하시기를 바랍니다.
 
 

제2의 월급을 만들어봅시다. 연금저축, IRP 활용 월 배당 ETF

제 2의 월급을 만들기 위해 오늘도 정보의 바다에서 헤엄을 치고 계신 여러분들을 위해 오늘은 IRP, 연금저축, ISA 계좌에서 활용해볼 만한 상품을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제2의 월급이라고 생각

garammarusc.com

 

반응형